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콩 재배

‘된장 향기’ 콩에 따라 달라져요~

by 달콩이네 농장 2011. 12. 9.

‘된장 향기’ 콩에 따라 달라져요
2011-12-06

- 원료 콩 달리하면 누구나 즐기는 전통 된장 만들 수 있어 -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전통된장에서 나는 냄새를 분석해 향기성분이 원료 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된장의 향기 성분은 발효 과정 중 미생물의 작용이나 화학적 변화에 의해 생성되는데 지금까지는 숙성과 저장 기간이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료 콩의 품종에 따라 전통 된장의 향기 성분이 적게는 70여 종에서 많게는 200여 종까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된장 향기의 주성분인 피라진류와 저분자 향기 성분 함량도 원료 콩의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농촌진흥청에서 최근 개발한 ‘우람콩’으로 만든 된장에서는 일반 된장 향기 성분의 절반 정도인 70여 종만 검출됐다.

주요 향기 성분인 피라진류는 우람콩에서 10.9%로 태광콩(18.9%)보다 적었다. 따라서 향후 향기가 적은 된장을 만드는 원료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콩은 단백질뿐만 아니라 아이소플라본, 사포닌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해 당뇨, 심혈관계 질환 등 생활습관병 예방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된장을 비롯한 콩 발효식품은 영양과 기능 성분이 풍부한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발효식품 특유의 풍취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에 이번 연구 성과는 콩 발효식품을 세계화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 이병원 연구사는 “이번 연구로 원료 콩이 발효식품의 향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된장 냄새를 싫어하는 서양인과 젊은 세대에게 알맞은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의] 농촌진흥청 두류유지작물과장 백인열, 두류유지작물과 이병원 055-350-1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