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비료 및 거름14

EM 유기 발효퇴비 만들기 EM 퇴비 EM퇴비는 쌀겨(70%), 유박(20%), 어박(10%)을 주요 유기물로 하여 골분, 게껍데기, 맥반석 등을 첨가하여 만든다. 골분은 인산을 보충하기 위해서 첨가하고, 게껍데기는 토양의 대표적인 병원균인 후사리움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염류 집적이 심한 토양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오라.. 2011. 5. 1.
EM 활용분야 2 2011. 5. 1.
EM 활용분야 1 2011. 5. 1.
EM 주요 미생물 약 35억년 전 탄생한 지구 최초의 생물. 태초 지구를 덮고 있던 이산화탄소와 수소화합물을 재료로 높은 압력과 온도 즉, 지금의 환경과 반대되는 조건에서 생존하면서 광합성을 하여 유기화합물의 합성 및 산소를 생성하여 오늘의 지구를 만든 공로자이다. 광합성세균은 주변의 유익한 균을 불러 모.. 2011. 5. 1.
EM의 특징 ◆ 환경성 : 오염원을 정화원으로 활용 ◆ 대중성 : 누구라도 쉽게 적용 가능 ◆ 경제성 :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력 ◆ 고품질 : 건강에 이로운 항산화 작용 ◆ 계속성 : 쓰면 쓸수록 점점 더 좋아짐 일반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이란 생산과정에서 해로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된 안전한 농산물을 뜻.. 2011. 5. 1.
EM(유용한 미생물)이란? EM은 Effective Micro-organisms의 머리글자를 딴 약자로서 유용한 미생물들이란 뜻이다. 일반적으로 효모, 유산균,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등 80여 종의 미생물이 들어 있어 악취 제거, 수질 정화, 금속과 식품의 산화방지,남은 음식물 발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 2011. 5. 1.
항산화란? 항산화란 활성산소(O2-, H2O2, OH 등)의 산화활동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1. 질병과 노화 방지 : 동맥경화, 염증, 피부노화, 감기, 바이러스병, 당뇨, 심장병, 백내장, 암, 노화 등 방지 2. 세포의 정상화 : 생리적 장해 억제, 내병해성 향상, 내스트레스성, 환경적응성의 획득 3. 소화기관의 활성.. 2011. 5. 1.
퇴비에 대한 이해 퇴비에 대한 이해 퇴비란.... 고형의 유기물 비료로서 작물의 영양 공급과 토양 개량을 목적으로 토양 표면에 직접 시비하는 거름을 말합니다. 퇴비는 예전에는 그 숙성도에 따라 부숙 퇴비, 미숙 퇴비, 녹비 등으로 나누어 왔습니다. 부숙이란 부패 숙성이란 뜻으로 장시간에 걸쳐 퇴비를 쌓아두면 초.. 2011.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