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마늘 재배

육쪽마늘 재배 기술

by 달콩이네 농장 2013. 10. 29.

육쪽마늘 재배 기술

 

씨마늘(종구) 준비

한지형은 바이러스 및 병해충 감염이 적은 종구로 쪽당 4~5g정도인 것

  → 통마늘 파종시 2~4g정도 되는 것으로 파종

  → 병해충의 피해 및 상처가 없고 발근 부위가 건전한 인편

 • 뿌리를 잡아 당겼을 때 뿌리가 단단하게 붙어있는 마늘 선택

  → 장기간 저온 저장된 마늘은 종구로 사용하면 2차 생장마늘 발생

  

씨마늘 소독

  → 마늘 껍질은 잎마름병균, 뿌리응애알, 선충알 등이 많이 붙어 있으므로 반드시 철저하게 소독해야 한다.

  → 소독약제 : 베노람() 500 + 디메토() 또는 스타렉스() 1000배액을 혼합하여 1시간 이내로 소독

    마늘쪽을 분리하여 충실한 것을 선별하여 그물망에 담아 소독한다.

  

파 종

포장관리

  → 마늘뿌리는 곧게 깊이 자라므로 파종 2주전에 퇴비와 석회를 고루 뿌린 후 깊이갈이 한다.

  → 경제적 시간적 이유로 깊이갈이 없이 1회로타리 작업 후 마늘 파종에 따른 염류집적 및 경반층 발생으로 수직배수가

     불량해지므로 적어도 2~3년에 1번은 깊이갈이하여 작토층을 확보해야 함

  → 석회 시용으로 산성토양 개량, 토양미생물 활성화로 유기물 분해 촉진으로 토양 구조개선 및 시비효율을 증대와 중금속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흡수를 억제시켜는 기능을 가지며 시용량은 10a 150~200㎏이나 산도(pH)에 따라 가감한다.

  → 미숙된 가축분은 토양은 물론 작물에도 가스 피해가 발생되므로 축분 퇴비는 반드시 완숙시킨 후 시용해야 하고 산야초,

     볏짚 등 신선유기물 시용하는 것이 좋으며 시용량은 10a 1,500~2,000㎏ 정도 살포한다.

 

 유기질비료와 부산물퇴비 비교

구 분

유기질비료

부산물퇴비

비료성분

질소-인산-가리 7%이상

규정없음

유기물함량

60~70%

25%이상

수분함량

15~20%

45~55%

주원료

식물성 유박(깻묵)
동물성 유기물(골분)

····산업 부산물
(
가축분, 톱밥 등)

판매시 발효여부

발효 안됨

발효시킴

 

 

 

 

 

 

 

 

 

 

 

 

  → 파종 1~2일 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살충제를 처리하고 로타리작업을 하고 배수 개선을 위해 두둑을 만드는데 이랑넓이는

     약 140㎝정도가 적당하나 여건에 따라 넓이를 조절하여 만든다.

 

거름주기

  → 마늘의 양분 흡수는 뿌리가 내리면서 시작하며 초기에는 주로 종구의 저장양분을 이용하고 월동 후 쫑이 나오는 시기까지

     양분 흡수량이 많다.

  → 비대가 시작하면 양분 흡수가 중지하며 생성된 양분이 마늘통을 키운다.

 

  → 마늘의 표준시비량

                                                                                                                                     (단위 : kg/10a)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

2

퇴 비
석 회
요 소
용성인비
황산가리
(
염화가리)

3,000
150
54
40
40
(34)

3,000
150
20
40
12
(10)

-
-
17
-
14
(12)

-
-
17
-
14
(12)

 

  → 밑거름으로 마늘전용복비를 사용할 경우 80~100㎏ 내외 시용

  → 추비는 난지형 3월하순, 한지형 4월 하순 이전까지 사용 → 2차 생장예방

  → 유기질퇴비(EM)를 시용할 경우 마늘전용비료 시용량을 1/3로 감량한다.

 

파종시기 및 파종방법

  → 난지형은 9월 중·하순이며 한지형은 10월 중순~11월 상순에 파종한다.

  → 파종기가 지나치게 빠르면 고온장해 및 2차생장의 원인이 되며 너무 늦으면 겨울철 동해로 인하여 수량성이 떨어진다.

  → 너무 얕게 심으면 통터짐(열구)마늘 발생하므로 5~6㎝깊이로 파종한다.

  → 마늘은 뿌리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세워서 심는다.

 

씨마늘 소요량(한지형) 및 재식거리

  → 밀식재배를 통한 6쪽마늘 비율 증대로 상품성 향상 요구됨

    보통재배 한 줄에 15개정도 파종되어 10a 36,000(70~80)

    밀식재배 한 줄에 20개정도 파종하면 10a 45,000(90~100) 필요

 

  → 재식거리와 씨마늘 소요량

구 분(10a기준)

한 지 형

난 지 형

보통재배

밀식재배

심 는 거 리 (cm)
씨마늘 소요량()

20 × 10
70 ~ 80

20 × 7 ~ 8
90 ~ 100

15 × 10
60 ~ 70

 

잡초방제

  → 마늘밭에 발생되는 잡초는 40여종이 있으나 주로 명아주, 독새풀, 쇠비름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 마늘밭에 사용하는 제초제는 파종 복토 후 3일 이내에 처리하는 토양처리제와 잡초가 3~5엽기에 처리하는 경엽처리제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 주의, 제초제 사용시 강우 전·후와 사질토에서 약해우려가 있으며 특히 경엽처리제의 경우 고온기 또는 비닐 피복시에

        약해 우려가 더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주기

  → 토양이 건조하면 양분의 흡수 이용이 어려워 생육 및 뿌리의 발육이 불량해지므로 마늘 파종기인 가을에는 비교적 비가

     적어 토양수분이 부족하므로 파종 후 반드시 물주기를 하여 뿌리발육을 촉진시킨다.

  → 4~6월 구비대기는 마늘의 생육 중에 가장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시기이므로 가뭄시 10일 간격으로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30㎜씩 2~3회 충분히 관수한다.

  → 생육 중에는 오후 서늘한 시기에 관수해야 하며 한발이 심한 시기에 갑자기 찬물을 많이 관수하면 스트레스를 받아 장해를

     입는다.

 

마늘 비닐피복재배

  → 한지형마늘은 겨울철 동해를 예방하고 난지형마늘은 수분유지 및 초기 생육을 촉진을 위해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한다.

  → 난지형 마늘 비닐덮기 : 10월상순

  → 한지형 마늘 비닐덮기 : 겨울철 땅이 얼기 직전(12월 상순)

    비닐 피복이 너무 빠르면 초기생육이 왕성하여 월동 전 싹이 나오면 동해의 위험이 있으며 벌(2차 생장)마늘이 발생한다.

  → 두둑넓이에 따라 비닐크기를 선택하고 두께는 보통 0.015㎜를 사용한다.

  → 비닐은 보통 무공비닐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 제초제 사용 후 비닐을 피복할 경우 4~5일 후에 피복하는 것이 안전하다.

  → 비닐피복 후 등 가스피해예방을 위해 3~4m 간격으로 가스발산 구멍을 뚫어둔다.

  → 비닐제거는 기온이 높은 4월중·하순경에 비닐을 걷어내는 것이 원칙이나 농작업 및 노동력 관계로 걷어내지 못할 때는

     지온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 짚 등으로 비닐 위에 덮어준다.

     • 고온기에 비닐을 걷지 않으면 저장 중 갈변되는 원인이 된다.

  → 비닐구멍 뚫기는 싹이 10~15㎝ 정도일 때 유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0㎝이상 자란을 경우 유인작업시 상처가 날수 있다.

 

마늘쫑 뽑기

  → 마늘쫑은 나오는 시기와 구비대기가 일치하므로 나오는 즉시 2~3회에 걸쳐 뽑아 줘야 마늘통이 충실해 진다.

   마늘쫑 제거가 늦으면 구비대가 나빠져 수량성 낮아짐

  → 마늘쫑 뽑는 시기가 늦어 잎줄기가 넘어질 우려가 있을 때는 쫑만 잘라줌

  → 가급적 아침 일찍 또는 해질 무렵에 뽑는 것이 좋다.

  → 주아재배에 이용할 건전한 쫑은 남기고 제거한다.

 

웃거름 시용

  → 3월부터 4월 하순 이전까지 2~3회 나누워 준다.

     • 10a당 시비량은 요소 6㎏와 황산가리 4㎏ 또는 N-K비료 10~15㎏ 시용

웃거름 시용시 유의사항

  → 반드시 생육이 부진할 경우만 시용한다.

  → 4월 하순이전까지 웃거름 시용을 완료해야 한다.

  → 최근 유기질퇴비, 가축분퇴비, 전용비료 사용에 따라 비료성분이 봄까지 서서히 녹아나오는 완효성 성분이므로 웃거름

     시용하지 않아도 될 경우가 많다.

 

 

* 자료 출처 ; 태안 농업 기술센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