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마늘 재배

마늘 재배법 정리 - 주아재배

by 달콩이네 농장 2011. 12. 18.

마늘 재배 공부(1) - 주아재배


* 마늘의 종류

ㆍ한지형 마늘 - 추운지방에서 많이 재배      (예)서산, 의성, 단양마늘 등

ㆍ난지형 마늘 -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재배    (예) 남도마늘, 대서(스페인산)마늘 등



* 마늘 종구 갱신

- 마늘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3년 주기로 종자용 마늘 종구를 바꿔 준다.

  종구 갱신 방법 : 주아재배에 의한 우량 씨마늘 생산



* 주아를 이용한 우량 종구 생산 방법

- 주아 채취 : 마늘 수확 직전 쫑대를 최대한 길게 하여 병충해가 없고 충실한 주아만 채취

  주아 보관 :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건조하여 보관

  파종 준비 : 파종 1일 전 종구 소독(살균제 + 살충제에 1시간 침지 후 말림) 실시 후 파종

              다비성 작물이므로 300평당 3톤 정도의 완숙퇴비를 기비로 한다.



* 주아의 특성

- 마늘쪽과 같은 구조로 조직이 더 치밀하고 증체율이 높으며 1총포(쫑대에 붙어 있는 주아)에

  8 ~ 30개의 주아가 있어 증식률이 마늘쪽으로 하는 것보다 좋으며 병원균 감염률이 낮다.



* 주아재배의 목적

- 주아를 이용하여 우량 종구 자가 생산과 단위면적당 수확량 증가 및 상품성 높은 마늘 생산이 목적



* 주아 재배 방법

- 주아 파종 시 그물망 파종이 나중에 수확 시 유리하므로 그물망 파종을 권장함.

  ㆍ 그물망 파종이란?  

     한랭사 또는 기타 망을 구입하여 이랑을 만들어 고른 후 이랑 위에 망을 편 후 망 위에

     주아를 뿌리거나 놓은 다음 흙을 약 2cm정도 덮는 것.


- 주아 파종방법 : 점파, 쫑채 심기, 모아 심기 등이 있다.


  1. 점파(일반적 주아재배법)

    - 파종시 주아를 대, 중, 소로 선별한다.(단, 쫑채심기 및 모아심기는 선별 필요 없음)

    - 주아가 큰 것은 하나씩 일정한 간격으로 심고, 작은 것은 산파(흩어 뿌림)한다.

    - 심는 깊이 : 약 2cm 정도로 얕게 한다.

    - 재식 거리 : 6cm * 3cm로 하며, 일반 마늘쪽 심는 시기보다 일주일 정도 일찍 파종한다.

    - 거름주기 : 주아재배는 일반 마늘쪽 재배보다 비료 주는 양을 줄이고, 퇴비를 많이 사용한다.

    - 수확 : 일반 마늘재배보다 4 ~ 5일 정도 일찍 수확하여 망사자루 등에 보관한다.

             이때 수확되는 마늘은 쪽마늘이 아닌 통마늘이 수확된다.

 

  2. 쫑채 심기 : 주아가 들어 있는 마늘쫑을 통째로 점파하는 것.

                 유공비닐의 경우 구멍 하나에 마늘쫑 하나씩 심으면 됨.

    - 주아를 분리 선별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 일반 주아재배(점파)보다 여뭄 비율이 높다.

    - 충실한 쫑을 선별하여 파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쫑대를 가위로 짧게 자른다.

    - 마늘쫑 껍질을 될 수 있는 한 벗겨주어 흙이 들어갈 수 있도록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관수를 해주는 것이 발아 향상에 도움을 준다.

    - 심는 깊이 : 약 3 ~ 4cm

    - 재식 거리 : 큰 쫑은 15cm * 10cm, 보통크기는 12cm * 10cm 정도

    - 비닐피복 및 유인 : 피복은 일반 마늘재배에 준하며,

                         유인은 쫑에서 올라오는 여러 개체의 순을 보통마늘 1쪽으로 간주하여 유인한다.


  3. 모아심기 : 쫑채 심기와 점파, 산파 재배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 분리 파쇄된 주아를 한 구에 10 ~ 15개 정도 모아서 일반 마늘쪽 1개에 준하여 심으면 된다.

    - 심는 깊이 : 약 2cm가 적당

    - 재식 거리 : 주아가 큰 것은 15cm * 10cm / 중ㆍ소는 12cm * 10cm 정도


  4. 주아(통마늘) 수확 방법

    - 심을 때 깔아 둔 한랭사를 들어 올리면서 수확하면 인력 절감 및 상처 마늘을 줄일 수 있다.


  5. 선별 및 보관 방법

    - 통마늘을 대(5g 이상), 중(3 ~ 5g), 소(3g 이하)로 구분 분리하여 망사자루에 넣어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6. 통마늘 재배

    - 종구 소독 : 파종 1일 전에 반드시 종구소독을 실시한다.

    - 파종 : 대, 중, 소를 구분하여 일반 재배에 준하여 파종하되

             파종시 건조하면 껍질이 두꺼워 뿌리가 밑으로 뻗지 못하고 껍질 안쪽을 향해 솟구치게 되므로

             물에 불려서 파종한다.

    - 심는 깊이 : 약 6cm 정도로 일반 종구보다 좀 더 깊이 심는다.

    - 재식 거리 : 대(大)는 20cm * 10cm / 중ㆍ소는 15cm * 10cm 정도

    - 수확 : 수확시기는 마늘쪽을 심은 것보다 생육이 왕성하므로 일반 마늘보다 조금 늦게 수확한다.

             그러므로 통마늘 후작으로 할 작목 선택시 잘 고려하여야 한다.

 

 

(정보를 제공하신 전주 하이택님의 자료를 정리하고 편집하였습니다. 하이택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