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
□ 콩, 고구마, 참깨, 땅콩
○ 파종전 대책
- 토양수분이 적습포장(60%이상)은 적기내에 파종
- 토양수분이 건조한 포장(40%미만)은 강우후 파종
- 만파시는 적기 파종시보다 20~30% 증량 파종
- 수분증발 억제를 위한 피복재배지도
- 파종한계기 이후 대파작물 파종
○ 파종후 대책
- 물대기 가능지역은 헛골에 물대기 실시
- 관수 불가능지는 산야초 및 비닐 피복으로 수분 증발억제
- 김매기를 겸한 표토천경 및 배토로 수분흡수 경합 완화
- 결주 보식용 예비묘판 설치
□ 마늘, 양파
- 관수 가능포장은 구 비대기에 10일 간격 관수
<마늘 구 비대기 관수 효과>
(’79. 원시)
처 리 |
수 량 |
지 수 |
무 관 수 |
446kg/10a |
100% |
4 월 관 수 |
599 |
134 |
4 - 5월 관수 |
901 |
202 |
4 - 6월 관수 |
990 |
222 |
<양파 구 비대기 관수 효과>
(’79. 원시)
처 리 |
수 량 |
지 수 |
무 관 수 |
3,443kg/10a |
100% |
10 일 간격 30mm 관수 |
4,855 |
141 |
10 일 간격 40mm 관수 |
5,203 |
151 |
- 관수 불가능지역은 천경 실시후 이랑 유기물피복(절단볏짚, 퇴비, 왕겨 등)
- 가뭄우려지역은 비닐피복 재배
· 가뭄시 스프링클러를 가동하여 물뿌리기 실시
· 추비는 물비료로 시용
□ 고 추
◦ 육묘중인 고추묘 관리
- 관수 가능한 포장에 육묘상 설치
- 가뭄으로 아주심기가 늦어질 경우 폿트 간격을 넓혀 주고 물주기를 제한하여 생육 조절(아주심기에 알맞은 잎 수 : 10~13매)
- 생육기간이 연장되어 생육이 불량한 묘는 요소 0.2%액을 5~7일 간격으로 엽면시비하여 모 노화 방지
◦ 정식 포장 관리
- 정식전 점적관수 시설을 설치하여 관수
- 관수 가능 포장은 5~7일 간격으로 관수
- 비닐피복 재배로 토양수분 증발 억제
- 경사지는 분무기 노즐을 빼고 호스로 고추 포기에 관주
(주당 0.5~1.0ℓ정도 관주)
- 관수가 불가능한 포장은 이동식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 관수
- 생육 불량 포장 요소 0.2%액 엽면시비
- 한발시는 진딧물 등 충해 방제로 바이러스 감염 예방
- 가뭄시 석회 결핍증 발생우려 : 염화칼슘 0.3%액 엽면 살포
<관수량과 수량>
(’82. 원시)
구 분 |
적 습 |
약 간 건 조 |
건 조 |
관 수 회 수(회) 관 수 량(㎜) 수 량(g/주) 수 량 지 수(%) |
12 197 632 100 |
10 193 593 94 |
4 117 234 37 |
□ 봄 무 · 배추
◦ 육묘중인 배추
- 하우스내 또는 관수 가능한 포장에 육묘상 설치
․ 관수 가능한 묘상은 5~7일 간격으로 오전 중에 관수
- 본포에 아주심기가 늦어질 경우 폿트 간격을 넓혀 주고 물주기를 제한하여 생육 조절
- 생육이 불량한 묘는 요소 0.2%액 엽면 살포
◦ 본포 정식 및 관리
- 비닐피복재배로 토양수분 증발 억제
- 정식시 정식 구덩이 관수후 정식
- 무 줄뿌림시는 평이랑으로 파종하되 파종량을 늘려 파종
- 웃거름은 물비료로 시용
- 관수 불가능한 포장은 이동식 스프링클러 설치 후 관수
- 김매기를 겸하여 겉흙을 긁어 주고 고랑 피복으로 수분증발 억제
- 진딧물 사전 방제
- 건조시에는 무게 감소 및 석회 결핍 발생
<토양수분과 봄배추 생장과의 관계>
약 간 과 습 |
적 습 |
건 조 | |||
포기무게 |
석회결핍비율 |
포기무게 |
석회결핍비율 |
포기무게 |
석회결핍비율 |
3.08㎏ |
37.5% |
4.48 |
18.8 |
1.52 |
27.8 |
□ 과채류(수박, 참외)
◦ 육묘중인 과채류 관리
- 관수 가능한 포장에 육묘상 설치
- 가뭄으로 아주심기가 늦어질 경우 폿트 간격을 넓혀 주고 물주기를 제한하여 생육 조절(아주심기 알맞은 잎 수 4~5매)
- 생육기간이 연장되어 생육이 불량한 묘는 요소 0.2%액을 5~7일 간격으로 엽면시비하여 묘 노화 방지
◦ 본포정식 및 관리
- 정식후에는 충분하게 물을 주고 일시적으로 햇빛을 가려줌
- 점적관수시설 이용 물주기
․ 관수 불가능포장은 이동식 스프링클러 시설설치
․ 물댈 수 없는 밭은 6~10일 간격으로 분무기 노즐을 빼고 포기당 0.5~1ℓ정도 물을 대줌
- 비닐, 짚, 풀 등을 덮어 수분증발 억제
- 가뭄으로 생육이 불량한 밭은 요소 0.2%액을 4~5일 간격으로 2~3회 잎에 뿌려 줌
- 볏짚이나 풀 등으로 열매를 덮어 줌
- 해충(진딧물, 가루이, 총체벌레 등) 사전 방제
- 순멎이 현상, 변형과, 열과, 등 생리장해 사전 방지
□ 고냉지 무·배추
◦ 육묘중인 배추
- 배추는 물주기가 가능한 포장에 묘상 설치
(준고냉지는 육묘시 방충망터널 설치로 바이러스 예방)
- 가뭄으로 아주심기가 늦어질 경우 폿트 간격을 넓혀 주고 물주기를 제한하여 생육 조절(아주심기 한계 본엽 8~9매)
- 생육이 불량한 묘는 요소 0.2%액을 2~3회 잎에 뿌려 모 노화 방지
- 진딧물, 배추흰나비 등 병해충방제
◦ 무
- 순별 분산 파종실시
- 무는 평이랑 파종하되 파종량을 늘려 파종(10a당 1→1.2ℓ정도 파종)
- 비온 후 일시 파종을 억제하고 분산 파종
◦ 본포관리
- 비닐 저수장을 설치하여 가뭄 대비
- 아주 심을 때는 물을 주고 심은 다음에는 비닐, 짚, 풀 등을 덮어 줌
- 김매기를 겸하여 겉흙을 얕게 긁어주고 풀, 짚 등을 덮어 주어 토양수분 증발 억제
- 고랑피복, 망사재배로 토양수분 증발 억제
- 물주기가 가능한 밭은 5~7일 간격으로 물주기 하되, 경사지는 분무기의 노즐을 빼고 물주기
․ 관수 불가능 포장은 이동식 스프링클러 시설 설치 후 물주기
과수 |
□ 수분증발 및 소모방지
◦ 유목은 뿌리가 분포된 지면을 두껍게 복토
◦ 잡초제거후 얕이 갈이 및 불필요한 도장지 제거
◦ 나무 뿌리가 분포된 부분의 지면에 퇴비, 짚, 풀, 비닐 등을 깔아주기
◦ 조기 꽃봉오리 및 열매솎기로 과일간의 양수분 소모 및 흡수 경쟁방지, 불량과 수시 적과
□ 물주기
◦ 수원을 개발하여 최대한 물주기( 20~30M/T/10a)
◦ 물주기는 7~15일간 30㎜정도의 강우가 없을 때 시작하고 일단 물주기를 시작하면 일정한 간격을 지켜서 계속 실시
◦ 개화기 고온․건조시 살수처리로 착과율 향상(2000 원예연, 나주배연)
- 착과율(공시품종: 행수) : 지표살수 146%, 수관살수 122, 무살수 100
<과수원 1회 관수량 및 관수간격>
토 양 |
관 수 량 |
관 수 간 격 |
사 질 양 질 점 질 |
20㎜ 30〃 35〃 |
4 일 7 〃 9 〃 |
- 비닐 공대 이용 관수
․ 비닐 공대에 물을 담고 나무가지 등에 고정 시킨 후 바늘구멍을 내어 점적관수 대용
◦ 과수원의 물주기는 물 소비량이 적고 노력이 절감되는 토양수분감응센서 이용 자동관수 실시
<배 과수원 관수량 절감효과>
(’95 원예연)
관수제어방식 |
관수량(㎥/㏊/월) |
총관수량(㎥/㏊/년) |
관수시물값(원/㏊) |
토양수분감응센서 관행(관수시간조절) |
46 62 |
184 248 |
58,880 (74%) 79,360 (100%) |
□ 시 비
◦ 가뭄으로 양분흡수가 잘 안되어 생육이 불량한 때는 요소 0.3%액을 잎에 뿌려주고 포도원이나 사과 유목원에서는 붕소 0.2%액 엽면 살포
□ 병해충 방제
◦ 각종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되 특히 가물 때에는 진딧물, 응애, 잎말이나방 등의 발생이 많으므로 중점 방제
□ 기 타
◦ 과실 햇볕 데임, 수분 증발 및 소모 방지
◦ 가능한 한 살균제는 석회보르도액 사용
◦ 염화칼슘 0.3~ 0.4%액을 잎과 열매에 살포
◦ 감귤은 물 20ℓ당 칼카본수화제 400g살포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알콩달콩 작물 재배 > 농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린재 다현녹두로 유인하여 방제(과수박사) (0) | 2015.08.17 |
---|---|
2014년도 영농 계획서 (0) | 2014.02.15 |
농업용 화물차 면세유 신청, 밭 직불금, 논 다양화(대체작물)사업 참여 신청, 맞춤 통장 개설..... (0) | 2012.03.30 |
무서리와 된서리를 아시나요? (0) | 2011.10.18 |
수목별 전정 시기 (0) | 2011.10.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