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별 전정 시기
전정은 목적에 따라 필요한 시기에 해야 한다.
전정 시기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는데, 휴면기에 하는 휴면기 전정과 생육기에 하는 생육기 전정으로 나눌 수 있지만
온대지방에서는 사계절 네 시기에 할 수 있다.
1. 겨울 전정
대부분의 조경 수목류는 휴면기인 12월~3월 사이에 전정을 하게 되는데, 전정의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겨울 전정의 장점
① 낙엽수는 잎이 없기 때문에 가지의 배치나 수형이 잘 나타난다.
②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③ 휴면 중에는 부정아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새가지가 나오기 전까지 멋있는 수형을 오래 관상할 수 있다.
※ 수종의 종류나 지역에 따라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새싹이 빠른 수종은 전정 시기를 빨리 끝내고, 늦은 수종은 늦게 해도 된다.
② 상록 활엽수는 대체로 추위에 약하므로 강전정은 피한다.
③ 같은 수종이라도 따뜻한 곳에 식재된 나무는 추운 곳에 심은 나무보다 봄에 새싹이 빨리 나오므로
전정도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④ 눈이 많은 곳은 눈이 녹은 후에 하도록 한다.
2. 봄 전정
새로운 가지와 잎이 나오는 시기인 3월 ~ 5월 사이에 하는 전정이다.
낙엽수는 최대의 성장기이기 때문에 순자르기나 눈따기 등 약 전정을 한다.
3. 여름 전정
6 ~ 8월 사이에 하는 전정으로 제 1 성장기를 마치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라 통풍이나 채광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도장지가 너무 혼잡하게 된 가지를 잘라주어 수광, 통풍을 좋게 하여 준다.
4. 가을 전정
수종에 따라 전정 시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침엽수는 한겨울을 피하여 10 ~ 11월경과 늦겨울이나 이른 봄이 좋고,
상록수는 봄에 새싹이 신장했다가 생장이 멈추는 5 ~ 6월경이나 초가을 또는 늦게 신장한 가지가 멈추는
9월 ~ 10월경이 좋다.
낙엽수는 낙엽이 진 후 11월 ~ 3월경과 새 잎이 줄기와 나와 굳어지는 7 ~ 8월경이 좋다.
꽃나무류는 꽃이 진 후 바로 하되, 화아분화 시기와 분화 후 꽃피는 습성에 따라 전정 시기가 다르게 된다.
수목별 전정 시기
* 봄꽃나무(진달래, 철쭉, 연산홍, 목련 등) - 화목류는 꽃이 진 후 곧바로 전정
* 여름 꽃나무(무궁화, 배롱나무, 장미 등) - 눈이 움직이기 전에 이른 봄 전정
* 상록 활엽수(감탕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등) - 잎이 떨어지고 새 잎이 날 때 전정
* 낙엽 활엽수(단풍나무류, 자작나무 등) - 대체로 겨울 전정. 여름 전정시에는 강전정은 피한다.
* 침엽수(소나무, 반송, 오엽송, 진백 등) - 5월 상순에 순 꺽기를 한다.10월 ~ 11월경과 늦겨울이나 이른 봄
* 산울타리(측백, 편백, 회양목, 사철나무 등) - 5월 말 이른 봄 전정
* 과일나무(복숭아, 사과, 포도, 살구, 배, 매실 등) - 겨울 전정
전지 전정시 참고사항
* 일반 수목 - 도장지, 포복지, 맹아지 제거
* 소나무 - 7월 초에 단엽 처리(분재식 조형 소나무를 만들고자 할 때는 새순을 모두 제거한다)
* 가을전정, 낙엽 활엽수 일부 - 강 전정은 동해를 받기 쉽다.
* 상록활엽수 일부 - 남부지방에서만 전정
* 침엽수 일부 - 묵은 잎 적심
* 산울타리 - 2번 정도 전정
* 겨울 전정 - 일반 수목의 수형을 잡아 주기 위한 굵은 가지 전정.
교차지, 내향지, 역지 등 가지 식별이 가능하므로 겨울 전정을 한다.
* 전정을 하지 않는 수종
1. 침엽수 : 독일 가문비, 금송, 히말라야시다, 나한백 등
2. 상록 활엽수 : 동백나무, 늦동백나무(산다화), 치자나무, 굴거리나무, 녹나무, 태산목, 만병초, 팔손이,
남천, 다정큼나무, 월계수 등
3. 낙엽 활엽수 : 느티나무, 팽나무, 회화나무, 참나무류, 백목련, 튤립나무, 수국, 떡갈나무 등
'알콩달콩 작물 재배 > 농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용 화물차 면세유 신청, 밭 직불금, 논 다양화(대체작물)사업 참여 신청, 맞춤 통장 개설..... (0) | 2012.03.30 |
---|---|
무서리와 된서리를 아시나요? (0) | 2011.10.18 |
쌀 소득 직불금에 대하여... (0) | 2011.06.13 |
목초액을 농업에 이용하는 방법 (0) | 2011.05.19 |
작물별 병충해 도감 (0) | 2011.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