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농업피해 보완대책의 하나로 지난 15일부터
농업용 화물차도 면세유 공급 대상에 포함시켰다.
연간 379리터의 면세유를 공급한다는 말을 듣고 농협으로 가 면세유 신청을 했다.
필요한 서류는 차량 등록증과 운전면허증만 있으면 됐다.
나는 이미 농업경영체 정보등록이 되어 있고, 면세유 카드도 있기 때문에 신청 절차는 간단했다.
담당 직원에게 공급량을 물어보니
기존의 농기계에 대한 면세유 공급 방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기존에는 연간 면세유 공급량이 정해져 있고, 사용 기한은 연내 아무때나 정해진 공급량의 한도 내에서 사용량에 상관없이
한번에도 구매가 가능했지만, 화물차의 경우 한번에 연간 공급량인 379리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월간 사용량이 정해져 있어 월간 한도량 내에서 공급을 한다고 한다.
31일까지 있는 큰 달은 32리터, 30일까지 있는 작은 달은 31리터까지 공급이 되며, 사용하지 않은 것은 익월로 이월되지 않고
매달 소멸 된다고 한다.
매월 잊지 말고 챙겨야 할당된 공급량을 다 찾아 먹을 수 있는 것이다..
흡족할 만큼의 공급량은 아니지만 그래도 면세유가 일반 경유에 비해 대충 700원 정도 싸다고 보고 계산해보면 연간 265,000원 정도의
할인 혜택인 것이다.
이어 밭 직불금 신청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면사무소로 향했다...
산업계 담당직원이 외근중이라 전화 통화로 문의를 해야 했다.
밭 직불금은 기존에 벼 직불금을 받고 있는 토지는 해당되지 않으며, 지목상 전(田)이어야 하고,
재배 작물이 콩, 옥수수, 보리, 밀 등 잡곡류와 사료작물, 마늘 등 일부 작목에만 한정된다고 한다.
직불금 예정액은 벼 고정직불금(590원)보다 적은 400원이 될 예정이라고 한다.
아직은 신청을 받고 있지는 않는 상태이고, 이장을 통해 밭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상태라고 했다.
차후 신청을 받을 경우 이장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어 논 다양화 사업인 대체작물 재배 신청을 하려 했는데
대체작물 신청은 지난해에 신청했던 사람들에 한해 연장 신청만 받고 있고, 신규 신청을 받지는 않는다고 했다.
올해는 논농사를 모두 없애고, 지난해 논이었던 곳에 콩을 재배할 계획이라 대체작물 재배 신청을 하려 했었는데
해당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면사무소에서 신청하려 했던 것은 모두 헛걸음이 됐고, 겨우 화물차 면세유 신청만 했다.
아쉬운 마음에 다시 농협에 들렀다.
주거래 은행을 농협으로 바꾸기 위해 맞춤 통장을 개설했는데 체크카드가 없어 이용이 불편했기 때문에
체크 카드를 두장 발급받기 위해서다.
도시에서 살때는 주거래 은행이 신한은행이었으나 시골에 살다보니 농협의 이용이 많고, 또한 농협 조합원으로 가입도 되어 있고,
서산 시내에나 가야 겨우 하나 있는 신한은행을 이용하기 보다는 농협을 이용하는 편이 편리하고 유리하기 때문에
주거래은행을 농협으로 바꾸려 했다.
그런데 단위농협 계좌번호는 너무 길어 도무지 계좌번호가 외워지지 않아 불편함이 많았다.
단순히 그 불편함 때문에 그동안 주거래 은행을 바꾸지 않았었는데, 요즘은 맞춤 통장이라는게 있어서
"본인의 휴대폰 번호 + 두자리 숫자"로 된 맞춤 계좌를 만들어 준다.
평소 알고 있는 내 폰번호에 숫자 두개만 외우면 되기 때문에 외우기가 정말 편하다.
"010-5341-7664-09" 이게 내 맞춤 계좌번호다....ㅎㅎㅎㅎㅎ 정말 쉽다.
그런데 지난번에는 그 숫자 두개 09를 잊어 헤맨적이 있다..ㅋㅋㅋ
이어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신용카드도 농협 채움카드로 바꿨다..
올해는 이용고 배당이 좀 늘어나려나 모르겠다.. ^^*
'알콩달콩 작물 재배 > 농사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도 영농 계획서 (0) | 2014.02.15 |
---|---|
밭작물 및 과수 봄가뭄 대응 방법 (0) | 2012.06.09 |
무서리와 된서리를 아시나요? (0) | 2011.10.18 |
수목별 전정 시기 (0) | 2011.10.01 |
쌀 소득 직불금에 대하여... (0) | 2011.06.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