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과수 재배

관심 품종의 개화상태(과수박사)

by 달콩이네 농장 2018. 4. 5.

제가 요즘 관심을 가지고 시험재배중인 하이브리드 과종(바이오체리, 플루오트)과  자두품종의 개화기가 되어서 품종간 개화기 차이를 관찰하던중 특이한 상황을 발견하였기에 글을 올립니다.

자두(추희, 유우에스에이자이언트, 도담, 미금) 들과 바이오체리, 플로우트는 개화기가 비슷한데 자두 신품종 알프스왕자는 개화기가 월등히 늦은 결과를 관찰하였습니다. 그 결과를 사진으로 보시겠습니다.

 

만개한 추희품종의 개화상태입니다.(3년전 제자리에 심어져 있으면서 발생한 가지 5개에 삭아접을 실시해서 키운  삭아접 모수채취용 나무로 임실군 오수면 도화농원에서 수집한 우량한  품질의 나무)

 

유우에스에이자이언트의 개화상태(작년에 장초접목 2년차에서 10여개의 착과가 되었습니다.)

 

바이오체리의 개화상태(꽃모양과 색깔, 개화기 등이 자두나 플루오트와 비슷합니다. 품질은 좋으나 적정 수분수가 없어서 문제가 되었던 자두 귀양품종의 수분수로 인정을 받는 것으로 보아 일반자두 품종의 수분수 역할은 물론이고 플루오트의 수분수 역할도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플루오트 플레이버퀸의 개화상태(이 품종은 결과지 발생이 많아서 엄청나게 많이 달리는 풍산성으로 플라보슈프림의 수분수 역할을 합니다.

올해 열매가 많이 달리면 종자를 채취, 플루오트 묘목을 만드는 공대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올봄에 이나무에서 접수를 채취하여 작년 9월 삭아접을 한 나무중 접목에 실패한 나무에 절접을 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종자채취를 위해서 전정을 최소화했습니다.)

 

플루오트 플레이버슈프림 품종으로 보시는 바와 같이 퀸에 비해 결과지 발생은 적지만 숙기가 7상~중순으로 심식나방이 극성을 부리기 전에 수확가능한 장점이 있고 퀸에 비해 대과종이고 맛이 좋았습니다. 수분수로는 플레이버 퀸이고 플레이버킹의 수분수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작년 9월 이 나무에서 접수를 채취하여 삭아접을 했습니다.작년에 가지를 채취하여 삭아접을 했기때문에 가지가 적습니다.)

 

문제의 " 알프스왕자" 입니다. 다른품종들은 모두 만개가 되었는데 이제사 개화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묘목상들이 비싼가격으로 분양을 하는데 이런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판매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묘목업체의 홈페이지를 보면 자두 헐리우드품종이 적합한 수분수라고 하는데 헐리우드품종을 분양한다는 내용은 어느 업체에서도 볼 수 없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올해 접목한 품종의 수분수관계를 언급하자면

플레이버슈프림(주품종) : 플레이버퀸(수분수)

플레이버퀸(주품종) : 플레이버슈프림(수분수)

플레이버킹(주품종) : 플레이버슈프림(수분수)

 

한가지 아쉬운 점은 플레이버킹과 플레이버슈프림이 상호 수분수 역할을 한다는 내용만 있으면 이 세가지 품종 중 가장 품질이 떨어지는 플레이버퀸을 제외 시키겠는데 아쉽게도 그런 내용이 없어서 상호 수분수 관계를 고려해서  플레이버킹 (55%), 플레이버슈프림(35%),

플레이버퀸(10%)비율로 접목을 했습니다. 

 

 제가 교류하시는 분 중에서 육종에 관심이 많으신 분(장성에 거주)의 예기에 의하면 플레이버킹(비바킴님께서 접수제공)이 플루오트 육종회사인 데이브윌슨사의 15년간 품질평가에서 1위를 했다고 합니다. 접수를 제공해 주신 비바킴님께 지면으로 통하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