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는 겨울에 하라메???
뜬금없이 지금이 도장지 제거 적기라니....?
지금은 도장지가 생기지도 않았는데....?
^^*
맞아요~ 지금은 도장지가 없어요..
하지만 도장지가 될 새순은 지금 막 생겨나고 있지요~
제가 매실재배를 처음 배울때 제 스승인 과수박사님이 자주 하시던 말씀이 있어요.
"겨울 전정을 최소화 해라`!"
저도 처음엔 이게 뭔말인가 했어요..
겨울에 전지를 조금만 하라는 말인가????
아니에요~!!
전지해야 할 가지가 최소한이 되도록 미리미리 줄여 놓으라는 말이에요..
어떻게????
"도장지가 될만한 놈들은 아예 싹을 없애라~!!"는 말이에요~~
도장지가 될 싹이 어떤건지 어떻게 알아????
^^*
쉽게 알 수 있는 도장지가 될 싹들이 어떤건지 보시지 말입니다~!!
요놈들이 바로 도장지가 될 새싹들 입니다.
요놈들은 가차없이 이렇게~~
이렇게 싹을 없애야 합니다~~!!
아래의 사진에 보이는 싹들은 볼것도 없이 도장지가 될 도장지 새싹들입니다.
지난 겨울에 전지할때 솎아낸 내향지나 도장지 절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이런 싹들은 볼것도 없이 도장지가 될 새싹들입니다.
필요에 의해 도장지를 활용할 경우가 아니라면 이런 싹들은 도장지가 되기 전에 일찌감치 제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전지를 하는 일은 즐거우나 전지한 가지를 치우는 일은 정말 싫더라구요...ㅠㅠ
지금 이 시기에 도장지가 될 싹들을 없애면 그만큼 겨울 전정을 할때 제거해야 할 도장지가 줄어들고 치워야 할 가지도 줄어 들겁니다.
또한 지금 발생하는 새순들은 모두 저장양분을 소모하며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새순을 조기에 제거하는 일은 불필요한 양분 소모를 줄이는 일이므로 나무에게 거름을 시비하는 것보다도 효과가 좋은 것입니다.
절단부에서 발생한 새순을 제거할 때 혹시나 옆이나 아래 방향으로 발생한 새순은 도장지가 되지 않을 것 같다고 제거하지 않는 다면 그건 오산입니다.
절단부에서 발생한 새순은 세력이 강해 옆으로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금방 방향을 틀어 위로 직립하는 가지로 되므로 절단부에서 발생한 가지는 철저히 제거를 해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겨울전정시 확실히 제거하게 될 제거 대상 새순들은 발생 초기에 아예 제거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에서 주지연장지가 될 가지는 10시 방향으로 발생한 새순입니다.
주지연장지가 될 새순을 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주지연장지가 될 새순보다 세력이 강한 불필요한 새순은 조기에 제거를 해야 합니다.
제거해 낸 새순이 어떤건지 아시겠죠?
주지연장지보다 등쪽에 발생해 있고, 더 직립한 새순은 볼것도 없이 주지연장지가 될 새순보다 세력이 강합니다.
이런 새순은 볼것도 없이 겨울전정시 제거 대상이므로 겨울에 없앨 가지는 아예 새싹 단계에서 제거를 해주는게 좋습니다.
이 또한 불필요한 양분 소모를 줄이고, 겨울 전정시 제거해야 할 가지를 줄여 전지로 인해 치워야 할 가지까지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강하게 키우고자 하는 주지연장지와 과실에 더욱 많은 양분을 공급하는 효과도 주는 것입니다.
손에 물집 잡혀가며 가위질 하는 것보다 맨손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으니 좋고, 나무의 이상적인 성장을 할 수 있게 하여 좋고, 치워야 할 가지를 줄여서 좋고, 과실에 많은 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 좋고, 거름 시비 효과를 줄 수 있어 좋고, 춥지 않은 화창한 날씨에 쉽게 일해 좋고~~♬
이건 뭐...... 일석육조(一石六鳥)네요~!!!
'알콩달콩 작물 재배 > 과수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수모종 육묘상태(과수박사) (0) | 2016.04.28 |
---|---|
복숭아씨살이좀벌 적기 방제 하세요~!! (1) | 2016.04.21 |
분양후 남은 묘목 폐기작업(과수박사) (0) | 2016.04.11 |
자두나무와 바이오체리 거름 시비 및 사과나무 전지 (0) | 2016.04.07 |
매실나무 품종별 눈의 움직임 차이(과수박사) (0) | 2016.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