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로 미루고 있던 콩 파종을 비가 그치는대로 시작하기 위해 준비 작업을 했다.
첫번째 단계로는 파종할 콩 종자를 구분하고 광물질 종자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광물질 종자처리시 공기내 질소를 공급받기 위한 뿌리혹 박테리아를 발달시키기 위함이다.
콩 다수확을 위해서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잘 발달되어야 하므로 종자처리를 하여 뿌리혹박테리아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먼저 백태(메주콩)와 서리태, 쥐눈이콩, 오가피콩으로 크게 구분하고,
메주콩은 작년에 논두렁에 심었던 자가재배 종자 5kg과 보급종 선유콩 5kg으로 구분하여 포장하였고,
서리태는 과수박사님과 종자나눔을 했던것 재래종 서리태 5kg과 작년에 논뚝에 심었던 자가재배종자 5kg으로 각각 구분하여 포장을 하였다.
이랑간격 85cm에 포기간격 20~30cm로 파종할 계획이며, 이렇게 파종했을 때 예상되는 종자 1kg당 재배 면적은 대략 100평 정도를 잡았다.
2011년 콩 재배 예정 면적(약 2,700평)
1. 메주콩 - 10kg 약 1,000평(종자처리) - 자가재배종 5kg, 보급종 선유콩 5kg
2. 서리태 - 10kg 약 1,000평(종자처리) - 속청
3. 쥐눈이콩 - 1kg 약 100평(종자처리)
4. 비교 실험 재배용 메주콩 - 3.2kg 약 320평(1.6kg 종자처리 + 1.6kg 종자처리 안함)
5. 서리태(신품종) - 1.1kg 약 100평(종자처리) - 재래종 서리태보다 윤기가 나며, 알이 약간 굵은 속청.
6. 오가피콩 - 1kg 약 100평(종자처리 안함)
7. 콩나물콩 - 약 70평(모종 이식재배 완료) - 종자처리 안했음.
작년에 집 앞 논뚝에 심어 재배했던 메주콩 자가 재배종자 5kg 이다..
콩 5kg당 광물질 처리액 한병을 넣었다..
투명비닐봉지에 넣고 처리액을 부은 다음 골고루 잘 버무려 하루 정도 음지에 잘 말린다..
보급종 선유콩 5kg이다.
보급종은 약품처리를 하여 보급이 되므로 콩 색깔이 약간 발그스름 하다... 가운데는 종자처리액을 부어 젖어 있는 것이 보인다.
무게는 정확히 5kg...
처리액을 붙는 모습....
골고루 잘 묻도록 버무려 준다...
종자처리를 하고 나니 더 붉으스름하다... 비닐봉지에 메모.....
과수박사님과 종자 나눔을 한 재래종 서리태... 속청이다...
처리액을 붇고 버무려 주니 콩자반 같다....ㅎㅎ
영낙없는 콩자반이다....
이건 집앞 논뚝에 심어오던 자가재배 서리태 종자다... 이것도 속청..
과수박사님과 나눔했는데 거의 흡사하여 같은 품종으로 보인다.
이녀석도 종자처리 하고나니 영낙없는 콩자반이다...ㅋㅋ
콩나물용으로 인기가 좋은 쥐눈이콩....
실험재배를 위한 메주콩 종자다...
맨 위 처음 두 메주콩은 종자가 큰 우량종이라
동일한 조건에서 광물질 처리를 한것과 하지 않은 것을 비교 실험재배해보기 위해 사진처럼 구분을 했다.
종자크기별 비교도 겸할 예정이다.
또한 토양 조건에 따른 비교 실험도 병행할 예정이다.
일부 구간은 밑거름으로 석회유황합제도 시비해 볼 예정이다..
이 서리태는 속청이면서 재래종에 비해 표면에 광택이 나고 알도 큰편이다..
사실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오가피콩이다...
겉모양은 서리태와 같으나 속청이 아니다. 그래서 혹시라도 종자가 섞일까봐 별로 재배하고 싶지 않으나
이 콩을 찾는 사람들도 있어 올해까지만 조금 심어볼 예정이다...
'알콩달콩 작물 재배 > 콩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리태 파종(7월 5일) (0) | 2011.07.10 |
---|---|
메주콩 파종(7월 5일) (0) | 2011.07.10 |
콩밭 이랑 만들기 (0) | 2011.06.21 |
콩밭 로터리 작업을 했다.... (0) | 2011.06.19 |
콩 재배시 주의해야 할 사항 (2) - 파종시기 (0) | 2011.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