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순나방붙이
학명 Grapholita dimorpha Komai
가. 형태
○ 복숭아순나방붙이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유사종으로 두 종의 외형을 육안으로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유전자 분석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 성충은 길이가 6~7㎜이고, 날개를 편 길이가 12~13㎜인 작은 나방이다. 머리는 암회색이고, 가슴은 암색이며 배는 암회색이다
○ 알은 납작한 원형이고 알껍데기에 점무늬가 빽빽하게 나 있다. 부화유충은 머리가 크고 흑갈색이며 가슴과 배는 유백색이다. 노숙유충은 자황색이며 머리는 담갈색이다. 번데기는 겹눈과 날개부분이 진한 적갈색이다.
○ 과거에는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것이 복숭아순나방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유전자 분석 기술로 확인한 결과 자두 과실을 가해하는 것은 대부분 복숭아순나방붙이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나. 피해증상
○ 유충이 자두 과실 속으로 뚫고 들어가 조직을 갉아 먹는다.
○ 복숭아순나방과 달리 복숭아순나방붙이는 자두 신초를 가해하지 않는다.
다. 발생생태
○ 연간 4회 발생한다. 노숙 유충으로 거친 껍질 틈에서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 1회 성충은 5월 상순, 2회는 6월 중순, 3회는 7월 하순, 4회는 8월 하순에 발생한다.
○ 1회 성충이 낳은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어린 자두를 가해하며, 2회 유충부터는 익은 자두를 가해한다.
○ 자두 과실의 수확이 끝난 경우에는 주변에 있는 사과, 배, 모과 과실로 이동하여 가해한 후 노숙유충이 되면 월동에 들어간다.
(그림 2) 자두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 성충의 연중 발생소장(전주, 2015∼’16 평균)
라. 방제
○ 피해를 받은 과실은 따서 물에 담가 유충을 질식시켜 죽인다.
○ 성충이 산란한 알이 주로 부화하는 시기인 5월 중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8월 상순 및 8월 하순∼9월 상순에 약제를 살포한다
'알콩달콩 작물 재배 > 과수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 봄에 분양한 사과대추 품종의 착과상태(과수박사) (0) | 2018.09.05 |
---|---|
플루오트 수분수 관계도(關係圖) (0) | 2018.08.17 |
플루오트 플레이버 킹 품종 당도 측정 (0) | 2018.08.06 |
바이오체리 수확 (0) | 2018.07.31 |
미국흰불나방 긴급방제 (과수박사) (0) | 2018.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