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농업인을 상담하다보면 고라니와 멧돼지 피해가 극심하다는 예기를 많이 듣고 카페검색을 하던중 다락골사랑 회원님이 효과를 보았다는 댓글을 보고 올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유해동물 퇴치기피제 - 에니스톱
탄 냄새’ 이용해 유해동물 쫓는다
숯 만들때 나온 액상과 목초액 등 섞어 기피제 만들어
귀농 3년차 농업인이 고라니·두더지·멧돼지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동물의 기피제를 개발해
농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울산 울주군 언양읍 원평1길에서 고추와 콩·벼농사를 짓고 있는 오재철씨(60)가 그 주인공이다.
서울서 7년간 사업을 하다 2012년 언양에 자리잡은 오씨는 다음해 고추와 콩을 심었다.
하지만 고라니가 콩꽃이 피기 전에 잎을 다 뜯어먹는 피해를 입었다.
할 수 없이 고춧대 1000여개를 사서 울타리를 만들고 그물망을 쳐보았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
가을에 배추를 심은 곳에도 고라니가 설치고 다녀 제대로 농사를 지을 수가 없었다.
이웃농가에서도 “두더지·고라니 때문에 골치가 이만저만 아픈 게 아니다”라고 난리였다.
지난해 봄 불난 지 2년된 야산에 고사리를 꺾으러 갔다가
‘불난 곳에는 멧돼지·고라니 등 동물이 오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 말에 착안해 ‘탄 냄새’를 이용하면 유해동물의 피해를 막을 수 있겠다 싶었다.
그 때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실험을 거쳐 기피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나무를 태워 숯을 만들 때 나오는 액상의 부산물인 목타르와 마늘향,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
목초액 등을 섞어 케이크형·고리형·액상형 등 3가지 형태의 기피제를 만들었다.
오씨는 “사계절 사용할 수 있도록 점도를 맞추는 게 가장 힘들었다”며
“야생동물이 싫어하는 특수한 냄새를 이용해 두더지·고라니·멧돼지·뱀은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밭작물에 피해를 주는 두더지 퇴치에는 액상형이 적합하다.
우선 밭의 중심부에서부터 1.5m 간격의 동심원 모양으로 기피제를 넣는다.
5~10㎝ 깊이로 땅에 구멍을 파고 기피제를 반숟가락 정도 넣고 흙을 덮는다.
이렇게 두더지를 먼저 밭에서 쫓아낸 후 가장자리쪽에도 기피제를 넣는다.
고라니와 멧돼지는 고리형 기피제를 사용한다.
울타리가 없는 경우는 Y자형 나뭇가지를 밭 주위에 꽂고 동물의 코 높이 위치에 걸어두면 된다.
고라니는 지면에서 30㎝, 멧돼지는 30~50㎝가 적당하다.
울타리가 있을 땐 동물의 코 높이에 맞춰 1~2m 간격으로 기피제를 걸기만 하면 된다.
산에 인접해 있는 밭은 간격을 좁혀서 달아둔다.
뱀은 나올 만한 곳에 사각형 모양의 케이크형을 1~2m 간격으로 놓아두면 된다.
오씨가 개발한 유해동물 기피제는
지난해 1월 울산상공회의소의 ‘중소기업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오씨는 특허비를 지원받았고 올 12월에는 특허도 나온다.
오씨는 지난해 8월부터 인터넷 오픈마켓과 전화주문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약효 지속기간은 60일이며, 케이크형 10개·고리형 12개·액상형 500g이 각각 9800원이다.
오씨는 “<애니스톱>은 밭·비닐하우스·농작물창고·집·캠핑장·산소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과수농가에 큰 피해를 주는 까치와 직박꾸리 등 유해조수를 막기 위한 제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080-345-3535.
'알콩달콩 작물 재배 > 과수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마지막 분뜬묘목 작업(과수박사) (0) | 2015.12.09 |
---|---|
매실나무 정지전정 출장 & Y자 수형 매실과원을 조성중인 김호직님 농장 방문 (0) | 2015.12.09 |
자두묘목 심고 매실나무 전정(과수박사) (0) | 2015.12.05 |
매실나무 전지 대행 출장 (0) | 2015.12.02 |
매실나무 전정과 기계유제 사용시기(과수박사) (0) | 2015.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