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과수 재배

매실 품종별 세균성구멍병 발생차이(과수박사)

by 달콩이네 농장 2015. 5. 17.

지난주 강풍에 비바람이 몰아친 상황에서는 세균성구멍병의 감염이 용이한 조건으로 비바람이 분 다음에 바로 방제를 해야 하는줄 알면서도 계속된 강풍으로 인하여 방제를  못하다가 어제 방제를 했습니다.

방제하고 나서 육묘중인 품종들의 발생상황을 조사한 결과 품종별 저항성 차이가 인정되어 사진촬영하여 올립니다.

 

 

 

남고(수분수)품종입니다.(세군성구멍병 약)

 

매향(수분수) - (중)

 

천매 (약)

 

울산매(수분수) - (약)

 

임주(풍후에 대한 수분수) - (강)

 

월세계(수분수 품종) - (약)

 

제 농장의 주품종 옥영(강)

 

방풍 울타리 옆에  올해 식재한 남고(분떠서 심은 묘목)인데 병 발생이 없이  깨끗합니다. 이와같이 세균성구멍병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방법은 과원 주변에 방풍울타리나 방풍수를 심어서  풍속을 약화시키는 방법(센 바람이 나무에 직접 닿지 않토록 하는 것) 입니다.

제주도 감귤농원을 방문해 보면 과원 주위에 삼나무로 방풍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도 감귤궤양병(세균성구멍병과 같은 병)을 막기위한 조치이니다.

 

 

올해 심은 옥영입니다.

접목방법을 삭아법으로 전환하면서 접수 채취장소가 농장주변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절감하여 올해 4주 심었습니다.

 

  유목기에 세균성구멍병 방제를 위해 제가 권장한 농약이 델란액상수화제 인데 액상수화제는 병 내부에서 약제가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사용전에 잘 흔들어서 약액이 고루 섞여진 상태에서 덜어내야 하는데 

   제가 시험한 바에 의하면 병을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흔들어서는 제대로 섞이지 않는다는 것을 최근에 발견하었습니다. 약을 따르기 전에 병뚜껑을 열고 병속에 강선이나 가는 막대기를 집어넣어 휘 저어서 약액이 고루 섞인 후 덜어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