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과수 재배

수고(樹高)가 높은 나무의 전지방법에 대한 실험 관찰 결과

by 달콩이네 농장 2017. 11. 29.

어느새 올해도 전지를 시작할 계절이 다가왔다.


작년에 수고가 높은 나무의 전지방법에 대한 실험을 했었다.

정말 수고를 낮추고, 주지연장지의 세력을 조금 낮추는데 도움이 됐을까??


『이 글을 처음 읽는 분들은 먼저 작년 12월 14일에 포스팅한 (여기를 클릭하세요. ☞)"수고가 높은 나무의 전지방법 - 나만의 노하우를 만들어 간다" 라는 글(기울어진 글[글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을 먼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올해의 매실나무 전지를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작년에 실험한 결과를 관찰해 봤다.


작년에 실험할 때 주지연장지로 할 눈보다 3눈 위를 절단했었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작년에 실험하며 사진을 올렸던 가지를 찾으려 했는데 어떤게 사진과 같은 가지인지 도무지 모르겠당...ㅠㅠ

이럴줄 알았으면 가지에 끈이라도 묶어 표시를 해둘껄....ㅠㅠ


하지만 한두 가지만 실험한게 아니고 실험한 나무는 많은 가지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했기 때문에 비록 같은 가지는 아닐지라도 실험 결과를 찾는 일은 어렵지 않았다.


이 가지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했던 가지다.


실험 결과는 예상을 적중했다.

목표로 했던 눈(주지연장지로 쓸 눈)의 세력이 절단부 바로 아래의 눈보다 세력이 확실히 약하다.

또한 기울기 각도도 만족스러울 만큼 누워 있었다.


만약 절단부 아래의 눈에서 발생한 가지를 주지연장지로 사용했다면 가지의 서있는 각도와 세력이 너무 강해 또다시 고민을 했을 것이다. 

목표로 했던 눈에서 발생한 가지가 기울기와 세력도 적당하니 주지연장지로 남기기에 아주 적합하므로 애초에 계획했던 대로 위의

3눈에서 발생한 가지는 절단을 했다.


주지연장지를 선택하고 전지를 마친 결과다.


다른 가지들도 같은 결과가 나왔는지 확인해 봤다.


이 가지에서도 역시나 최상단의 장아부에서 발생한 가지의 세력이 가장 강했다.

반면 절단부에서 4번째 가지(목표로 했던 가지)는 정어부의 가지보다 세력이 적당히 약하고 각도도 조금 더 누워 있었다.

목표로 했던 눈 위를 절단해 주지연장지를 남기고~~


에궁......   주지연장지를 선택하는것 까지는 좋았는디 주지연장지에서 또다시 작년에 실험했던 방법을 적용해 목표로 하는 눈보다

3눈 위를 절단했어야는디 습관적으로 목표로 하는 눈보다 한눈 위를 절단했넹....ㅠㅠ


이 가지 또한 상황은 같았다.


실험했던 모든 가지들이 예상했던 결과를 만들어 냈다.



앞으로 수고가 높은 가지는 이 방법으로 절단 전정을 해야겠다.


하지만 아직도 이 방법이 손에 익지 않아 나도 모르게 자꾸 목표로 하는 눈의 한눈 위를 절단하게 된당....ㅠㅠ

남은 전지는 좀 더 신경을 써서 이 방법으로 전지를 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