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알콩달콩 귀농생활 - 달콩이네농장
알콩달콩 작물 재배 /채소 재배

쪽파 재배 - 서산

by 달콩이네 농장 2011. 3. 22.

 

1. 원산지 및 내력

야생종은 발견되지 않고 원산지도 확실하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동양재래의 쪽파는 중국에서 전래되어 각 재배지역에서 선발과 도태를 거치면서 토착화된 재래품종이다.

 

 

2. 환경과 생육

생육적온은 15~20℃이며, 저온에 강하여 0℃ 부근에서도 피해가 없다. 여름의 고온과 장일기간에는 엽초 밑부분이 비대하고 비늘줄기를 형성하여 휴면에 들어간다.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점절토에서 생육이 좋고, 수량과 품질면에서 유리하다.
사질토에서는 초기생육은 불량해지므로 수량이 떨어지고 품질도 저하된다. 이어짓기시에는 이러한 증상이 더욱 뚜렷하다. 적당한 토양반응은 pH5.7∼7.4이고, 갈이층이 깊은 토양이면 적당하다.

 

3. 품종

쪽파의 품종은 다른 작물과 같이 품종의 분화가 많지 않으며, 재배종의 대부분은 품종이 알려지지 않아 그 지방에서 계속 재배되어온 지방 재래종으로 알려져 있다. 또 생육기의 길고 짧음에 의하여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도 나눈다.

조생종은 구가 담황색으로 소형이고, 잎은 진한 녹색이다. 초기생육이 좋고, 잎의 끝이 가늘며, 내한성이 강한 특징이 있다. 중생종은 구가담자색으로 소형이고, 잎은 연한 녹색으로 가늘고 길며 허리가 약하여 구부러지기 쉽다. 만생종은 구가 자색을 띤 대형이며, 잎은 두껍고 짙은 녹색에 가깝다.

지상부는 저온에 약하여 겨울동안에 거의 말라죽지만 이듬해 봄 기온의 상승에 따라 급격히 생육한다

4. 재배작형

재배 작형은 다른 작물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으나 수요의 증가와 재배기술의 향상에 의하여 표와 같이 나눌 수 있다.

[표] 쪽파의 재배작형

작형별

파종

수확

출하목표시기

시설재배

터널재배

노지재배

노지재배

억제재배

8월 하∼9월 상

9월 상순

8월 중순

9월 상순

6월 중순

12월 중 ∼1월 상

2∼3월

10∼11월

5월중순

7∼8월

겨울출하

봄출하

가을김장철

종자용 생산

여름단경기 생산

5. 재배기술

가. 씨쪽파 준비

씨쪽파는 알이 단단하고 부패되지 않은 것으로 윤기가 나는 것이 좋다. 저장한 씨쪽파는 수염뿌리와 겉껍질을 다듬어 10a당 90∼100㎏을 준비한다. 큰 것은 한구씩, 작은것은 1∼3구씩 분구하고 씨쪽파 소독은 파종 하루 전에 벤레이트티 500배와 디메토유제 1,000배액으로 혼합한 액에 1시간정도 담갔다가 음지에 말려 파종한다.  파종기가 늦어 3㎜이상의 싹이나온 씨쪽파는 약제의 농도를 낮추어 소독한다.
 

나. 파종 및 재식거리

쪽파는 고자리파리의 피해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포장 정지작업시 토양 살충제를 10a당 4∼5㎏ 살포하고 파종하도록 한다.
파종상의 이랑 넓이는 90∼120㎝에 포기사이와 줄사이는 15×15㎝ 또는 20×10㎝로 한다. 심을 때 2∼3구씩 붙여 심는 것이 뿌리내림이 빠르다. 파종깊이는 파종당시 토양 수분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5∼10㎝ 정도로 골을 파고 씨쪽파의 상부에 2.5㎝정도 흙이 덮이도록 심는다. 이때 씨쪽파가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다. 거름주기

쪽파는 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다비성 채소이기는 하지만 양념채소라는 측면에서 볼 때 향기가 좋고 잎이 부드러워야 하므로 질소질과 인산질비료를 알맞게 주어야 한다.
 

 

[표] 쪽파 거름주는 양

(단위 : ㎏/10a)

종류

총량

밑거름

웃거름

1차

2차

3차

4차

퇴 비

요 소

용성인비

염화가리

거름시기

1,500

45

50

25

 

1,500

11

50

25

8중

-

10

-

-

8하

-

8

-

-

9중

-

8

-

-

9하

-

8

-

-

3상

특히 재배기간 중에는 비료분이 계속 꾸준히 유지되어야 하고 만약 부족하면 잎이 굳어져서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토양조건 및 수확시기에 따라 거름주는 양이 달라져야 한다.
 

라. 재배관리

파종후 잎이 3∼4매때 웃거름을 주고, 김매기를 실시하며, 쓰러지지 않도록 약간 흙덮기를 해준다. 가을에 수확하여 판매하고자 할 때에는 북주기를 충분히 하여 흰부분이 많게 하면 상품가치를 높이고, 월동 후에 판매할 때는 북주기를 얕게 하여 줄기가 단단하게 자라도록 관리한다.

월동시킬 경우에 북주기를 과다하게 하면 줄기가 지나치게 무성하게 되어 다음해 봄에 줄기가 힘이 없어 쓰러지게 되므로 상품성이 떨어진다. 수분관리는 건조하면 생육이 부진하고 품질이 떨어지며, 과습하면 병해충 발생이 심하므로 수분조절을 잘해야 한다. 월동시에는 배수구를 정리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서릿발의 피해도 줄이도록 해야한다.

 

 

6. 병해충 방제

가. 고자리파리

쪽파, 파, 마늘 등에 있어서도 피해가 심한 해충으로 1년에 4회정도 발생하며, 땅속 10㎝ 정도에서 월동한다. 4월에 알을 낳아 부화하고,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땅속으로 내려가 뿌리를 가해한다. 방제법은 파종한 곳에 10a당 토양 살충제를 5㎏정도 살포하고 산란기에 살충제를 한번 더 살포해 준다.
 

나. 총채벌레 (스립스 : thrips)

쪽파의 줄기에 기생하면서 즙액을 빨아먹는 작은 해충이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10여회 발생하는데 고온 건조시에 번식이 왕성하며, 전체가 회백색으로 변하여 상품가치를 상실한다. 건조시에는 물을 주고 살충제를 살포해 준다.

다. 버짐병

3월 하순∼4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4월중순경 가장 발생이 심하다. 5월하순부터는 발생이 줄어들고 10월에 다시 발생한다. 발생부위는 잎의 표면에 긴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황백색병반이 생기는데 나중에 흰곰팡이가 생겨 말라 죽는다.
방제법은 이어짓기를 피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하며 발생초기에 다코닐이나 디이센엠45 수화제 등 살균제를 살포한다.

라. 무름병

저장시에 큰 피해를 나타내는 병으로 상처를 통해 식물에 침입한다. 뿌리는 썩고 지상부는 누렇게 마른다. 배수가 불량하고 비가 자주 올 때 발생이 심하다.

'알콩달콩 작물 재배 > 채소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파 재배 방법  (0) 2011.05.09
쪽파 재배 방법  (0) 2011.05.09
고추 재배 기술  (0) 2011.05.05
고추밭 이랑 만들고 비닐 멀칭하기  (0) 2011.04.22
쪽파 고품질 재배기술  (0) 2011.03.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