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콩달콩 작물 재배 /마늘 재배

고품질 마늘 생산은 파종할 때부터....

달콩이네 농장 2011. 5. 9. 22:14

 

고품질 마늘 생산은 파종할 때부터


마늘은 지역 특성알맞은 품종을 선택해야 합니다.  

  ○ 난지형마늘과 한지형마늘 생육특성 비교

    - 난지형 : 파종 후 곧 싹이 나와 어느 정도 자란 상태에서 월동

    - 한지형 : 파종 후 뿌리만 내리고 이른 봄에 싹이 나와 자람

 

[마늘 주요 품종별 특성]

품종명

생태형

마늘쪽 수

재배지역

파종기

수확기

원산지      

서 산 종

한지형

  6~8개

중부해안

10중~하

6하

한국재래종

의 성 종

한지형

6~8

중부내륙

10중~하

6하

한국재래종

단 양 종

한지형

6~8

중부내륙

10중~하

6하~7상

한국재래종

남도마늘

난지형

6~10

남  부

9중~10상

6상~중

중  국

대서마늘

극난지형

12~13

남  부

9중~10상

5중

스페인

   ※

 

 

 

 

 

 

                             이 외에도 지역별로 재래종이 많이 있으므로 알맞은 품종 선택

 

좋은 씨마늘을 심어야 고품질 마늘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 알맞은 크기의 씨마늘 선택 : 난지형 5~7g/개, 한지형 4~5g

    - 마늘쪽이 너무 크면 벌마늘 발생증가, 작으면 수량감소의 원인이 됨

  ○ 병해충이 발생되었던 밭에서 생산된 마늘은 씨마늘 사용 금지

  ○ 씨마늘로 부적당한 것 : 병해충 감염, 상처, 마늘이 말라 수축된 것, 뿌리가 쉽게 떨어

      지는 것, 마늘쪽 폭이나 뿌리부분이 너무 좁은 것, 모양이 바르지 못한 것, 여러 쪽이

      붙어있는 것 등

  ○ 특히 씨마늘을 심은 다음 마늘쪽의 바깥부분에서 뿌리가 왕성하게 발생하므로

      이 부분이 건전해야 함

 

씨마늘은 반드시 소독해서 심어야 합니다.

  ○ 씨마늘을 통한 병원균 감염 : 흑색썩음균핵병, 잎마름병, 선충, 응애 등

  ○ 마늘쪽 껍질을 완전히 벗겨내고 소독하되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

  ○ 침지소독(浸漬消毒) 방법

    - 소독약제 만들기 : 베노람수화제 500배+디메토유제 1000배액 혼합

    - 씨마늘을 양파자루에 담아 1시간 침지 후 그늘에서 말려 파종

  ○ 분의소독(粉衣消毒) 방법

    - 습분의(濕粉衣) : 씨마늘 1㎏당 물 20㎖를 적셔 촉촉하게 한 다음 베노람수화제

                                     20g을 골고루 묻혀 그늘에서 말려 파종

    - 건분의(乾粉衣) : 물을 묻히지 않고 씨마늘 1㎏당 베노람수화제 4g을약이 골고루

                               묻도록 여러 번 섞어줌

  

                                     [씨마늘 소독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 방제효과(농과원)]

 

85.8%

 

 

 

 

 

 

 

 

 

 

 

 

 

 

 

 

 

 

 

 

 

 

 

 

 

 

 

 

 

27.1

 

 

 

 

 

 

 

 

 

 

 

 

 

 

 

0

 

약제처리

 

습분의

(20g/종구1㎏)

 

침  지

(500배/1시간)

 

무처리

 

 

씨마늘을 심은 다음 알맞게 포장관리를 해줍니다.

  ○ 싹이 트는 부분은 위로, 뿌리가 나는 부분은 밑으로 향하도록 파종

    - 특히 뿌리가 나는 부분이 상하지 않도록 가볍게 심어야 함

    - 비스듬하거나 거꾸로 심으면 발아가 늦고 수확한 마늘 모양이 나빠짐

  ○ 심는 깊이 : 마늘쪽 길이의 2~3배 또는 5~7cm정도 흙을 덮어줌

    - 너무 깊게 덮으면 통이 작아지고, 얕으면 언 피해와 벌마늘 증가

  ○ 흑색비닐을 피복하여 토양수분 유지와 잡초발생 억제

    - 비닐을 피복하지 않을 경우 볏짚, 낙엽, 퇴비 등으로 덮어줌

  ○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

  ○ 제초제는 반드시 등록된 약제만 사용하고 주의사항을 준수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은 반드시 파종기부터 예방해야 합니다.

  □ 흑색썩음균핵병이란?

   ○ 마늘․양파․파와 같은 채소에 발생되는 토양전염성 병해임

   ○ 잎과 줄기가 노랗게 변하면서 생육이 위축되고 포장 군데군데에서 발생하다가

      심하면 포장 전체가 말라죽음

   ○ 구근을 싸고 있는 균사는 흰색에서 점차 검은색 균핵으로 변함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피해]

 


  □ 흑색썩음균핵병이 발생되는 조건은?

   ○ 발생최적온도 15~20℃, 균사발육 시작 2℃, 발병 중지 25℃이상

   ○ 밭재배에서 많고, 이어짓기나 지난해 병이 발생되었던 포장

   ○ 마늘을 심을 때 씨마늘에 감염되어 이듬해 2~4월에 나타남

   ○ 가을철에 비가 많거나 물빠짐이 나쁜 토양, 농기계 부착전염 등

 

  □ 흑색썩음균핵병의 효과적인 방제방법은?

   ○ 씨마늘은 건전한 것을 이용하고 반드시 소독하여 파종

   ○ 마늘․양파․파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와 논밭 전환재배

   ○ 지난해 병이 많이 발생되었던 포장에는 마늘을 재배하지 않도록 함

   ○ 병든 식물은 검은껍질(균핵)이 형성되기 전에 일찍 제거

   ○ 트랙터․경운기 등의 농기계는 작업 후 흙을 깨끗이 씻어냄

   ○ 토양소독 : 10a당 다조메입제(밧사미드) 30㎏을 파종 2개월전 처리

   ○ 파종 전 약제처리 : 10a당 터부코나졸유제 500배액 100ℓ를 파종할

                                  흙덮기전 토양에 관주처리